공부/인문학 5

내셔널 미니멈.

살면서 한번쯤은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말을 들어봤을테다. 이 명문장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학자가 쓴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볼 수 있다. 학자 베버리지는 자신의 이름을 건 보고서에 인간다운 삶을 위한 사회보장의 꿈을 담았고, 이는 현대 복지의 근간을 이뤘다. 베버리지 보고서에는 저 말말고도 '내셔널 미니멈'이란 단어도 나온다. 베버리지가 처음 꺼낸 이야기는 아니었지만 베버리지는 이 단어를 사회보장의 목표로 세웠다. 그럼 '내셔널 미니멈'이 무엇일까. 내셔널 미니멈이란 국민생활환경 기준의 하나로, 한 나라 전체국민의 생활 복지 상 불가결한 최저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한다. 즉 그 나라 국민이 인간답게 살아갈 최소한의 생활환경을 뜻한다. 베버리지는 국가가, 사회보장을 통해 국민들에게 내셔널 미..

공부/인문학 2019.08.22

[Popology]컬처비즈의 시대

아래 내용은 KMOOC의 "Popology: 대중문화로 인문학하기 - 윤영훈, 성결대학교"를복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문화의 시대과거는 생산의 시대였습니다.제품을 생산할 때, 어떻게 효율적으로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을까?어떻게 더 많이, 더 빨리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했습니다.현대는 문화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제품을 생산하는 데 있어, 어떻게 더 아름답게 만들 수 있을까?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물건을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합니다.문화 감각매력은 魅(도깨비 매)와 力(힘 력)을 더한 단어입니다.사람을 홀리는 도깨비의 힘이란 뜻입니다. 즉,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묘한 힘을 말합니다. 매력적인 사람의 예로 바람둥이를 듭니다.바람둥이는 단순히 잘생긴 사람이 아니라, 말을 잘 하는 사람입니다.상..

공부/인문학 2018.09.01

[Popology]대중문화 속 우리들의 이야기

아래 내용은 KMOOC의 "Popology: 대중문화로 인문학하기 - 윤영훈, 성결대학교"를복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예술의 어원예술은 그리스어로 Techne라고 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예술과 기술, 두 단어로 나뉘었죠.이렇듯 예술은 작품 전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의 기술도 포함하고 있습니다.일상 속의 예술멋진 도자기, 새로 나온 지갑, 맛있게 데코된 음식까지.우리는 일상 속에서 예술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만드는 사람.기능공을 넘어 아티스트의 경지에 오른 사람을 장인이라고 합니다. 예술은 순수하고 숭고한 것이 아닌, 생활 속에 존재하는 것입니다.언어를 통해서 이에 대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프랑스의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인간의 "두가지 언어"에 대해 이야기한 바가 있습니다..

공부/인문학 2018.09.01

[서양철학의 전통]최초의 철학자들 (밀레토스 학파)

아래 내용은 KMOOC의 "서양철학의 전통 - 박승찬, 가톨릭대학교"을복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신화에서 철학으로인간이 가진 최초의 철학적 질문은, 자연의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였습니다. 강력한 자연의 위력을 사람들은 신화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바다의 거센 풍랑은 포세이돈의 분노 때문이다.'와 같이요. 하지만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투쟁하면서 삶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고, 신화적 설명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게 됩니다. 신화에서 철학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바람은 고대 그리스어 문화권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이오니아 지방에서 그러했습니다.밀레토스: 철학적 탐구의 시작이오니아 지방의 밀레토스는 동방의 영향으로 선진문화와 접촉했고, 나일강 유역에 있으며 무역을 통해 상업이 발달하였습니다..

공부/인문학 2018.09.01

[서양철학의 전통]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고유함과 그 의미

아래 내용은 KMOOC의 "서양철학의 전통 - 박승찬, 가톨릭대학교"을복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철학의 어원모든 학문의 뿌리인 철학(philosophy), 그리스어 원어로는 PhilosophiaPhilo(지혜)와 Sophia(사랑)의 합성어로 지혜에 대한 사랑을 뜻합니다.우리는 왜 서양철학의 전통을 배워야 하는가본래 그리스어에서 철학은 학문 전체를 의미했습니다.철학은 모든 학문의 뿌리이자 줄기라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일상과 철학인간은 외부적·환경적 변화나 내면적 갈등 상황에서 '왜?'라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물론 일상적인 질문과 철학적 질문은 같지 않습니다. 그러나 '왜'라는 질문이 ①삶 그 자체(주변 세계) 또는 ②존재 그 자체(나 자신)과 연계된다면 철학적 질문이 됩니다. 우리는 일상속에서 어떤 ..

공부/인문학 2018.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