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

[Popology]대중문화 속 우리들의 이야기

아래 내용은 KMOOC의 "Popology: 대중문화로 인문학하기 - 윤영훈, 성결대학교"를복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예술의 어원예술은 그리스어로 Techne라고 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예술과 기술, 두 단어로 나뉘었죠.이렇듯 예술은 작품 전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의 기술도 포함하고 있습니다.일상 속의 예술멋진 도자기, 새로 나온 지갑, 맛있게 데코된 음식까지.우리는 일상 속에서 예술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만드는 사람.기능공을 넘어 아티스트의 경지에 오른 사람을 장인이라고 합니다. 예술은 순수하고 숭고한 것이 아닌, 생활 속에 존재하는 것입니다.언어를 통해서 이에 대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프랑스의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인간의 "두가지 언어"에 대해 이야기한 바가 있습니다..

공부/인문학 2018.09.01

[서양철학의 전통]최초의 철학자들 (밀레토스 학파)

아래 내용은 KMOOC의 "서양철학의 전통 - 박승찬, 가톨릭대학교"을복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신화에서 철학으로인간이 가진 최초의 철학적 질문은, 자연의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였습니다. 강력한 자연의 위력을 사람들은 신화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바다의 거센 풍랑은 포세이돈의 분노 때문이다.'와 같이요. 하지만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투쟁하면서 삶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고, 신화적 설명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게 됩니다. 신화에서 철학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바람은 고대 그리스어 문화권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이오니아 지방에서 그러했습니다.밀레토스: 철학적 탐구의 시작이오니아 지방의 밀레토스는 동방의 영향으로 선진문화와 접촉했고, 나일강 유역에 있으며 무역을 통해 상업이 발달하였습니다..

공부/인문학 2018.09.01

[서양철학의 전통]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고유함과 그 의미

아래 내용은 KMOOC의 "서양철학의 전통 - 박승찬, 가톨릭대학교"을복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철학의 어원모든 학문의 뿌리인 철학(philosophy), 그리스어 원어로는 PhilosophiaPhilo(지혜)와 Sophia(사랑)의 합성어로 지혜에 대한 사랑을 뜻합니다.우리는 왜 서양철학의 전통을 배워야 하는가본래 그리스어에서 철학은 학문 전체를 의미했습니다.철학은 모든 학문의 뿌리이자 줄기라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일상과 철학인간은 외부적·환경적 변화나 내면적 갈등 상황에서 '왜?'라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물론 일상적인 질문과 철학적 질문은 같지 않습니다. 그러나 '왜'라는 질문이 ①삶 그 자체(주변 세계) 또는 ②존재 그 자체(나 자신)과 연계된다면 철학적 질문이 됩니다. 우리는 일상속에서 어떤 ..

공부/인문학 2018.08.28

[Linux]포트 사용에 에러가 났을때

http://yadw.tistory.com/306를참고해 만들었습니다. Error: listen EADDRINUSE :::3000이런 에러를 본적이 있나요? 이 error는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를 이미 다른 앱이 사용 중일 때 나타나는 에러입니다. 웹 앱을 개발용으로 이용하다보면 꺼지지 않은 앱들이 자리를 잡고 비켜주지 않는 셈이지요. 고쳐봅시다! ㅣ특정포트 확인$netstat -nap | grep {port} //ex: netstat -nap | grep 3000 ㅣ특정 포트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확인$lsof -i TCP:{port} //ex: lsof -i TCP:3000 ㅣ특정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죽이기$fuser -k -n tcp {port} //ex: fuser -k -n tcp {..

[gitHub] gitHub commit 텍스트 고치기

https://gist.github.com/nepsilon/156387acf9e1e72d48fa35c4fabef0b4를 참고해 만들었습니다. git commitgit은 commit을 통해 어떤 변화 또는 내용을 남깁니다. 하지만 새로 남기는 건 쉬운데 이전에 남긴 commit 내용을 바꾸는 방법은 쉽지가 않네요. 4가지 경우로 나누어 각각 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ush하지 않은 가장 최근의 commit을 고칠 때이 경우가 가장 간단합니다. ㅣ커맨드라인$git commit --amend $git push origin master 위와 같이 입력하면 내가 썼던 commit 텍스트가 에디터 위에 보일 겁니다. 마음대로 고치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push까지 마무리. push한 가장 최근의 comm..

[mongoDB] ubuntu에 설치하기

https://docs.mongodb.com/manual/tutorial/install-mongodb-on-ubuntu/를 참고해 만들었습니다. 본 포스팅은 Ubuntu16.04 LTS 버전에 mongodb 3.6.5 버전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mongodb란?mongodb는 NoSQL의 일종으로, 컬렉션 단위로 데이터를 묶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컬렉션은 기존 SQL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처럼 사용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재밌는 점은 mongodb의 레코드들이 BSON으로 저장되며 BSON은 이진 JSON이라 JavaScript 객체의 프로퍼티/값 쌍과 일치한다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Nodejs와 짝이 잘 맞습니다. mongodb 설치먼저 패키지 관리 시스템에..

[gitHub] 처음 설정하기

https://nolboo.kim/blog/2013/10/06/github-for-beginner/를참고해 만들었습니다. git이란?git은 버전관리 툴입니다. 처음 개발을 시작하면 이걸 뭐하러 쓰나 싶을 때가 있었지만, 거창한 버전관리 대신에, 내가 그날 그날 뭘했는지 일기장을 쓴다는 마음가짐이라면 git이 얼마나 유용한가를 간접적으로 표현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제의 내가 뭘 고쳤는지를 잊었다면 오늘의 나는 아주아주 힘들겁니다. 그냥 그럴 때 있잖아요. 뭔가 확 꽂혀서 고쳤고 기똥차게 기능이 잘되는데 정작 오늘의 나는 왜 잘 되는지 모를 때... 화가 차오릅니다.) gitHub는 개발자에게 있어선 페이스북 같은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한 활동들, 내용을 일기로 써서 남들한테 보여주는 거나 다름없거든..

[django] 첫 django 앱 만들기 part 2

https://docs.djangoproject.com/en/2.0/intro/tutorial01/ 참고 django 프로젝트 생성workspace - python 폴더 안에 mysite라는 이름의 django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참고로 가상환경은 my_env를 사용하는 중이다. ㅣconsole cd /mnt/c/workspace/python django-admin startproject mysite 다음과 같이 mysite라는 이름의 폴더가 생겼다. startproject로 만들어진 mysite 폴더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ㅣmysitemysite/ manage.py mysite/ __init__.py settings.py urls.py wsgi.py • 외부 mysite/: 이 프로젝트의 ..